" 자신의 뿌리를 찾아서 이 곳에 오신 당신은 오늘 크고 작은 행운이 함께 할 것 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ㄹ ) 성씨(姓氏) 모음

고흥류씨(高興柳氏)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항렬표

by 하얀나비 미드저니 2023. 2. 3.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고흥(高興)은 전라남도 남동단(南東端)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려초에 고이부곡(高伊部曲)이라 하였으며, 1285년(충렬왕 11)에 고흥현(高興縣)이라 개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조선 태조조(太祖朝)에 보성군(寶城郡) 조양현(兆陽縣)으로 개편되었다가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 두원현(豆原縣)으로 바꾸고 보성군 남양현(南陽縣)을 분할 편입하여 흥양(興陽)이라 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고쳤으며, 1914년 고흥군(高興郡)으로 개칭하였다.

이 곳의 뿌리공원은 대전 광역시에 위치해 있으며 대전시 외곽에 위치해 항상 맑은 공기를 유지하고 뿌리공원을 가로 지르며 흐르는 냇물은 산속의 둔탁함을 맑게해준다. 가족들 단위로 여름에 숲속을 찾는 사람들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뿌리라는 단어조차 사라지는 세상에서 이런 공원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참으로 반가운일이 아닐수 없다.

 

 

 

고흥류씨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우리나라의 류씨(柳氏)는 문헌에 130여 개의 본(本)이 전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文化) 서산(瑞山) 진주(晉州) 전주(全州) 고흥(高興)의 일곱 본(本)이 현존하는 류씨(柳氏)의 대성(大姓)이다. 이 일곱 본 중에서 여섯 본은은 모두 문화 류씨를 대종(大宗)으로 분파된 내력과 계통을 가지고 있는데 오직 우리 고흥류씨(高興柳氏)만은 전하는 것이 없어 알아볼 길이 없다. 다만 옛날 고려 고종(高宗) 때 영밀공(英密公)은 고이부곡(高伊部曲)에서 출생하였고 나라에 벼슬하여 공훈(功勳)을 세웠기 때문에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을 봉하고 고이부곡이 현(縣)으로 승격되어 고흥(高興)이라 이름하게 되었다.

 

이후로 공의 후손들이 이 때부터 고흥(高興)을 관향(貫鄕)으로 삼은 것 이다. 고흥은 현재 전라남도의 남단에 돌출한 고흥반도와 유인도(有人島) 38개를 포함한 160여개의 부속도서(附屬島嶼)로 구성된 군(郡)이다. 이 지방은 해양성 기후지대로 기온이 온난(溫暖)하고 농산물과 수산물 등 천혜의 자원이 풍부하여 살기에 편리한 곳 이기도 하다.

 

고흥군의 군청소재지인 고흥읍 서쪽으로 10리 가량 되는 풍양면(豊陽面) 한동리(寒東里)에 양류동(楊柳洞)이라 이름 하였다. 이 마을은 지대가 평평하며 뒤에는 삼태봉(三台峯)이 있고 마을 가운데 큰 방앗돌이 있어서 푸른 무늬가 있으며 편편하므로 속칭 류정승세답석(洗踏石)이라 하니 그 넓이가 사방 10자가 되는데 지금도 그 속 사람들이 류씨의 빨랫돌이라 전해오고있다. 또 기(旗)를 세웠던 건기석(建旗石)도 있었으나 현재는 유허비각(遺墟碑閣)에 옮겨 보존하고있다. 또 그 곳에 맑은 물이 솟는 샘이 상, 중, 하로 줄지어 있어 삼태정(三台井)이라 한다. 이 유지(遺址)에 시조 호장공(戶長公)의 유허비각(遺墟碑閣)이 있고 비각 안에 유허비(遺墟碑)도 세워져 있다.

뿌리공원 고흥류씨 조형물 후면

시조 휘 영(英)으로 부터 2세 숭제(崇濟), 3세 광(光), 상(上)은 모두 호장이고, 4세 명단(明旦), 5세 욱(昱), 6세 승무(升茂) 묘 좌측에 단(檀)을 설치하여 매년 음 10월 15일  시랑공과 함께 세향(歲享)을 모신다.  고흥군 과역면 도야리의 만종제에는 전 자손이 재숙할 수 있는 본당 1체와 동, 서재 4채가 세워져 있다. 뜰에는 고흥류씨 역대의 공이 있는 지신(枝新), 일영(日榮), 시준(時浚) 선대 세분의 공적비(攻績碑)가 세워져 있다. 

 

양류동 유허지가 수 백년간 타성이 소유하고 있었으므로 고흥 자손들이 애석하게 여겨오던 중 1940년 무렵에 고흥의 월계공(月溪公) 시준(時浚)께서 사재로 한동리 한 복판에 있는 유허지를 매입, 종중에 기증하여 유허비각을 세웠다.

고흥류씨는 어떤 류(柳)씨와도 상대(上代)에서 연관이 없는 독류(獨柳)라 하여 문화(文化)계 류씨(柳氏)나 차(車)시와도 혼인하여 왔다. 혹시나 문화(文化0계에서 갈려 나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고흥류씨(高興柳氏)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항렬표

고흥류씨-돌림자-항렬표
고흥류씨 항렬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