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뿌리를 찾아서 이 곳에 오신 당신은 오늘 크고 작은 행운이 함께 할 것 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ㄱ ) 성씨(姓氏) 모음7

언양김씨(彦陽金氏) 언양김씨 조형물이 뿌리공원내에 만들어저 있습니다. 다른 성씨 244기의 조형물과 함께 공원화 시켜, 냇물과 숲이 만들어졌습니다. 숲속의 휴식처를 만들어 놓아 조상들의 얼을 기리고,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이 모여 족보박물관도 관람을 하도록되어 있습니다.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언양(彦陽)은 경상남도 동북부(東北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신라(新羅) 때의 거화현(居火縣)인데 경덕왕(景王 : 제 35대왕, 재위기간 : 742~765)이 헌양(獻陽)으로 고쳤으며, 고려(高麗) 때 와서 언양(彦陽)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습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언양김씨신유보(彦陽金氏辛酉譜)」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의 기록에 의하면 시조 김선(金鐥)이 고려(高麗) 때 언양군(彦陽君)에 봉군도었으므로, 후손.. 2023. 10. 27.
광주김씨(廣州金氏) 광주김씨를 비롯하여 대전 뿌리공원에는 성씨별로 244기의 조형물이 세워져있습니다. 광주김씨 조형물에는 광주김씨의 조상들께서 지나가신 옛 발자취를 기록한 략사(略史)가 하단부에 새겨저 있습니다. 광주김씨 관향의 연혁 광주는(廣州)는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장으로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왕인 준왕(準王)이 위만(衛滿)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쪽으로 망명하여 회안국(淮安國)을 세우고 한왕(韓王)이 된 마한(馬韓)의 일부였다. 서기 371년 백제(白濟)의 근초고왕(近肖古王)은 남한산(南漢山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에 이도(移都)하여 이 곳을 한성(漢城)이라 불렀고 553년(백제 성왕 3,신라 진흥왕 14) 신라(新羅)에게 나라를 빼앗겨 신라의 한산주(漢山州)가 되었다가 서기 756년(신라 경덕왕 15) 한.. 2023. 10. 27.
청도김씨(淸道金氏) 족보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조형물이 대전 뿌리공원에 설치되어있습니다. 이 공원에는 청도김씨 외에 243기의 다른 성씨 조형물이 세워져있는데 다른 성씨들과 구역별로 나누어져 설치하면서 조경공사를 하였습니다. 청도김씨의 조형물 위치는 233번입니다 a1 청도김씨 관향의 연혁 청도(淸道)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쪽 중앙에 위치한 고장으로 본래 이서소국(伊西小國)의 땅이었으나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 제3대왕, 재위기간 : 24~57)때 신라에 병합되었다가 구도성(仇刀城)의 경내(境內) 솔이산(率伊山), 오도산(烏刀山),경산(驚山)의 3성(城)을 합하여 대성군(大城郡)을 두었다. 경덕왕(景德王) 때 와서 구도(仇刀)를 오악현(烏岳縣)으로, 경산(驚山)을 형산현(荊山縣)으로, 솔이산(率伊山)을 소산현(蘇山縣)으로.. 2023. 10. 25.
안동권씨(安東權氏)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안동(安東)은 경상북도(慶尙北道) 복동부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고대(古代)의 창녕국(昌寧國)이었는데 신라시대(新羅時代)에는 고타야국(古陀耶國), 고창군(古昌郡)으로 불렸고,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견훤(甄萱)과 싸워 전공을 세움으로써 안동부(安東府)로 승격 되었다. 그 후 영가군(榮可郡) 또는 복주(福州)로 개칭되었다가 1361년(공민왕 10)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附)로 승격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시조(始祖) 권행(權幸)은 본래 신라(新羅) 종성(宗姓)인 김씨(金氏)였다. 신라(新羅)으 천년사직이 기울어가는 서기927년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이 신라에 침입하여 포석정(鮑石亭)에서 연회를 하던 경애왕(景哀王 : 제 55대 왕)을 .. 2023.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