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ㄴ ) 성씨(姓氏) 모음3 영양남씨(英陽南氏) 영양남씨의 조상들 발자취를 더듬는 조형물을 뿌리공원에 만들었다. 이 공원에는 다른 성씨 243기의 조형물과 함께 공원을 만들었다. 공원 둘레로는 냇물이 흐르고 공원에는 숲을 만들어 휴식공간을 만들었다. 영양남씨(英陽南氏) 관향(貫鄕)의 유래(由來) 축산리 동명의 유래는 지형(地形)이 소가 누워 있는 형국(形局)이 되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은 8세기 중기인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때 청주한씨(淸州韓氏)가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나, 영양남씨(英陽南氏) 입향시조 유래로 더 유명하다. 경덕왕(景德王) 14년(755) 당(唐)나라 현종(玄宗) 연간에 김충(金忠)이란 안렴사(安廉使)가 일본 사신으로 다녀오던 도중 풍랑을 만나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이곳 축산에 표착(漂着)한 다음 신라에 살기로 청원하자.. 2023. 10. 28. 의령남씨(宜零南氏) 돌림자 항렬 족보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의령(宜零)은 경상남도(慶尙南道)의 중앙, 낙동강 하류서안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본래 신라(新羅)의 장함현(獐含縣)인데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의령으로 고쳐서 함안군(咸安郡)에 속했으며, 고려(高麗) 때에는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공양왕(恭讓王)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조(朝鮮朝)에 현(縣)으로 승격된 뒤 1895년(고종 32)에 의령군으로 개칭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남씨성(南氏姓)은 신라 경덕왕 14년 시조(始祖) 영의공(英毅公) 민(敏)이 왕으로 부터 남씨로 사성(賜姓) 받은 것이 시초이다. 1200년대 고려 후기에 이르러 남씨는 영양, 의령 고성, 삼관(三貫)으로 나누어졌다. 의령남씨의 관조(貫祖)는 고려 통헌대부(通憲大夫) 추밀원직부사(樞.. 2023. 2. 5. 나주(羅州)나씨(羅氏) 관향 유래 족보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나주(羅州)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중서부(中西部)에 위치한 지명(地明)으로 백제(百濟)의 발라군(發羅郡)이었으며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 제35대왕, 재위기간 : 742 ~ 765) 때 금산군(錦山郡)으로 고쳤다. 후백제의 견훤(甄萱)이 이 곳을 본거지로 삼았고 후에 고려(高麗) 태조 왕건(王建)이 점령하여 나주(羅州)로 개칭하였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고대 중국(中國) 백익(伯益)의 후예로 전하는 나주나씨(羅州羅氏)는 시조(始祖)인 나부(羅富)가 강서성(江西城) 예장(豫章)으로 부터 동래(東來)하여 고려조에서 정의대부(定議大夫)로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역임하고 나주(羅州)에 정착(定着)한 것이 시원(始原)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 2023. 2.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