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뿌리를 찾아서 이 곳에 오신 당신은 오늘 크고 작은 행운이 함께 할 것 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ㄴ ) 성씨(姓氏) 모음

의령남씨(宜零南氏) 돌림자 항렬 족보

by 하얀나비 미드저니 2023. 2. 5.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의령(宜零)은 경상남도(慶尙南道)의 중앙, 낙동강 하류서안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본래 신라(新羅)의 장함현(獐含縣)인데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의령으로 고쳐서 함안군(咸安郡)에 속했으며, 고려(高麗) 때에는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공양왕(恭讓王)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조(朝鮮朝)에 현(縣)으로 승격된 뒤 1895년(고종 32)에 의령군으로 개칭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남씨성(南氏姓)은 신라 경덕왕 14년 시조(始祖) 영의공(英毅公) 민(敏)이 왕으로 부터 남씨로 사성(賜姓) 받은 것이 시초이다. 1200년대 고려 후기에 이르러 남씨는 영양, 의령 고성, 삼관(三貫)으로 나누어졌다. 의령남씨의 관조(貫祖)는 고려 통헌대부(通憲大夫) 추밀원직부사(樞密院直副使) 남군보(南君甫)이다.

 

의령남씨는 고려시대로 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고려말에 자헌대부(資憲大夫)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를 지낸 곡은 을진(乙珍)은 나라가 망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신념으로 감악산 암굴에 들어가 단식 순절한 절신(節臣)으로 후세의 추앙을 받고 있다. 조선조에는 충경공(忠景公) 재(在)와 강무공(剛武公) 은(誾) 형제가 조선 개국에 훈1등의 공을 세워 중앙 정계에 진출, 재(在)는 의정부 영의정이 되었고, 은(誾)은 중좌의정이 되었다. 이후 대대로 숱한 현신(賢臣)과 학자들이 배출되어 씨족의 위세를 높여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는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서 의령남씨를 조선조 20대 명벌의 하나로 꼽고 있다.

 

정승 6명, 판서 22명, 문과급제자 140여명, 이 나왔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에는 남덕우(南悳祐)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많은 인재가 정, 재계 법조계 학계 등 여러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다. 의령남씨는 지금 전국에 20여만명이 산재해 살고 있으며 의령남씨의 본산(本山)인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400번지에는 관조 의령군(宜零君)의 묘소와 재실비각 관리사가 있으며 매년 춘추로 전국의 자손들이 모여서 시제(時祭)를 드리고 있다.

의령남씨(宜零南氏) 돌림자 항렬 족보

의령남씨-뿌리공원-조형물이- 있는-곳
뿌리공원 의령남씨 조형물 전면

 

족보 이야기

한국 족보는 한국 문화에서 가족의 혈통과 역사를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그 것은 한국 유산의 중요한 측면이며 일반적으로 정보는 세대를 거쳐 전승됩니다. 족보라고 불리는 가족 계보 책은 가계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며 출생, 사망, 결혼 및 기타 가족 역사의 중요한 사건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한국 전통사회에서 가계는 부계를 통해 이어졌고, 장남은 가계를 유지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오늘날 족보는 특히 가족 상봉과 조상 숭배 의식의 형태로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족보 역사는 지금으로 부터 약600여년전 조선시대에도 족보가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과는 많이 달랐다. 양반 가문에서만 사용했고 일반 백성들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심지어 자신의 뿌리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어느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전쟁통에 친지가 뿔뿔이 흩어지면서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된 것이다.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족보가 제작되기 시작했는데 그 것은 바로 선조실록이었다. 선조 임금이 피난길에 오르면서 급하게 작성한 기록물인데 일종의 가계부라고 보면 된다.

일가친척의 혈통을 기록한 기록물이다.

 

이후 광해군 시대에 이르러서는 보다 체계적인 형태의 족보가 등장한다. 그 것이 바로 광해군일기 입니다. 왕실 종친회에서 편찬한 최초의 족보였다.  이전까지는 가문의 시조까지만 표기했었는데 이제는 후손들까지 모두 기재하게 되었다. 물론 모든 집안이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여전히 일부에서는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지대의 잔재라며 족보 만들기를 거부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 후반부터는 대다수 가정에서 족보를 만들었습니다. 17세기 중반 무렵에는 무려 천여 권의 분량의 족보가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족보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등 주요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의령남씨 돌림자-항렬표
돌림자(항렬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