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나주(羅州)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중서부(中西部)에 위치한 지명(地明)으로 백제(百濟)의 발라군(發羅郡)이었으며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 제35대왕, 재위기간 : 742 ~ 765) 때 금산군(錦山郡)으로 고쳤다. 후백제의 견훤(甄萱)이 이 곳을 본거지로 삼았고 후에 고려(高麗) 태조 왕건(王建)이 점령하여 나주(羅州)로 개칭하였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고대 중국(中國) 백익(伯益)의 후예로 전하는 나주나씨(羅州羅氏)는 시조(始祖)인 나부(羅富)가 강서성(江西城) 예장(豫章)으로 부터 동래(東來)하여 고려조에서 정의대부(定議大夫)로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역임하고 나주(羅州)에 정착(定着)한 것이 시원(始原)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부(富0의 후손으로 영동정(令同正)에 오른 득규로부터 기일세(起一世)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으며, 특히 일세조인 득규의 증손(曾孫) 수영(守永)의 아들 5형제가 모두 현달(顯達)하여 가문(家門)의 중흥을 이루었다.
나주나씨(羅州羅氏) 관향 유래 족보
수영(守永)의 맏아들 위9位)는 고려 때 일찍 출사(出仕)하여 여러관직을 역임한 후 호조전서(戶曹典書)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당시 혼란한 정국을 개탄하며 벼슬을 버리고 나주에 은거자정(隱居自靖)하여 금양처사(錦陽處士)로 불리워졌으며, 그의 아들 동길(東吉)이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내고 증주목사(甑州牧使)로 나가 자손들이 그 곳에서 잉거(仍居)하면서 용강(龍岡)과 성주(成州) 등지로 이거(移居)하여 주로 관서북(關西北) 지방에 집중세계하게 되면서 부터 전서공파(典書公派)의 일족(一族)을 이루었다.
수영의 둘째 아들인 계(桂)는 고려에서 벼슬이 중서시랑(中書侍郞)에 이르렀고, 자손들이 주로 경기도(京畿道)에 세거하며 시랑공파(侍郞公派)를 이루었다. 그의 묘소(墓所)가 한양성내(漢陽城內)에 있는 것으로 기록에 전하나 실전(失傳)하여 1978년 후손들이 강화군(江華郡) 하점면(河岾面) 장정리(長井里) 봉천산(奉天山) 남쪽에 6대를 설단(設壇)하고 매년 음력 10월 13일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금양군(錦梁君) 파조(派祖)인 석(碩)은 고려 때 사온서 직장으로 나라에 공(功)을 세워 금양군(錦陽君)에 봉해졌으며 학문(學門)이 뛰어났고, 나주로부터 김제(金提)로 이거(利居)하여 자손들이 김제파(金提派)라도 하였다.
그의 묘소(墓所)는 김제의 북조산(北造山)에 있었으나 실전하여 후손들이 1954년 김제군(金提郡) 금산면(今山面) 청도리(淸道里) 종산(宗山)에 설단하고 매년 음력 3월 15일 향사(享祀)하고 있다. 수영(守永)의 네째 아들로 연안군파(延安君派)를 이룬 세(世)는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고 전라도 상원수(全羅道上元師)겸 도안무사(都按撫使)를 거쳐 나라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으며 벼슬이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이르렀고, 묘소가 실전되어 후손들이 1975년에 충남(忠南) 서천군(舒川郡) 마서면(馬西面) 옥산리(玉山里) 순제동(筍提洞)에 설단하고 매년 음력 3월 17일에 향사하고 있다.
수영의 막내아들로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내고 나주(羅州)에 세거(世居)했던 원(源)은 직장공파(直長公派)의 파조(派祖)가 되었고, 묘소는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아들 진(璡)과 함께 나주 송현(松峴)에 있으며 3월 3일 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가통(家統)을 빛낸 인물(人物)을 살펴보면 조선 세종(世宗) 때 이조판서(吏曹判書)겸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낸 득강(得康)과 전농시정(典農侍正)으로 공(功)을 세워 나성군(羅城君)에 봉해진 공언(公彦), 명종(明宗) 때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청주판관(淸州判官)으로 나간 응허(應虛), 양천현감(陽川縣監)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군민들이 선정비(善政碑)를 세웠던 흡이유명하다.
도한 풍덕군수(豊德郡守) 순(恂), 광주유수(廣州留守)를 지내고 판서에 추증된 치온(致溫), 영광군수(靈光郡守)를 거쳐 무장현감(茂長縣監)으로 선무원종일등공신(宣武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된 덕신(德愼), 인조(仁祖) 때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진무원종일등공신(振武原從一等功臣)에 오른 덕현(德憲), 정묘호란 때 옥과현감(玉果縣監)으로 군량조달에 힘 썼던 위소(緯素) 등이 가문(家門)을 대표했다.
'( ㄴ ) 성씨(姓氏)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남씨(英陽南氏) (1) | 2023.10.28 |
---|---|
의령남씨(宜零南氏) 돌림자 항렬 족보 (1)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