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ㅎ ) 성씨(姓氏) 모음4 강릉함씨(江陵咸氏) 관향 유래 족보 강릉함씨(江陵咸氏)의 조형물은 대전 뿌리공원내에 세워져있으며, 243기의 다른 성씨들 조형물과 함께 모여 뿌리공원이라는 곳을 조성하였습니다. 족보박물관을 만들었으며 휴식을 취하는 공원으로 조성하여 조경을 숲속의 휴식처로 만들었습니다. 관향의 연혁 강릉(江陵)은 강원도(江原道) 영동지방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예국(濊國)이었는데 산사군을 정할 때 임둔(臨屯)이 되었다가 313년에 하서랑(何西良) 또는 하슬라(何瑟羅)라고 하였고, 통일신라 선덕여왕이 소경(小京)으로 삼아 사신을 두었다. 685년(태종무열왕 5) 하서주(河西州)로 개편, 경덕왕 때 다시 명주(溟州)로 개편하였으며, 고려 태조 때인 936년(태조 19)에는 동원경(東原京)이라 칭하고 임영관(臨瀛館)을 세웠으며 940년(태조 23) 다시 영주로.. 2023. 10. 25. 선행(先幸) 남양(南陽) 홍씨(洪氏) 항렬표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현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강령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수원시가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001년 화성시로 승격되었고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다. 남양(南陽) 선행(先幸) 홍.. 2023. 2. 6. 남양홍씨(南陽洪氏) 항렬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남양(南陽)은 지금의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시(華城市) 일원을 포함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의 당성군(唐城郡)을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당은군(唐恩郡)으로 개칭하였다가 고려초에 다시 당성군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수주(水州 : 수원)와 인주(仁州 : 인천)에 편입되기도 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南陽府)가 되었다. 조선조(朝鮮朝) 말기에 남양군이 되어 인천부(仁川府) 관할이 되었다가 1913년 군을 폐하고 그 땅을 나누어 영흥면 대부면은 부평군(富平郡)에 편입시키고 나머지는 모두 수원군(水原郡)에 합하였다. 그 후 수원면이 읍(邑)으로 승격되었으며 후에 수원읍 이외의 땅은 화성군(華城郡)으로 수원읍은 수원시(水原市)로 승격 되었다. 가문(家門)의.. 2023. 2. 5. 장수황씨(長水黃氏) 가문의 유래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장수(長水)는 전라북도(全羅北道)에 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우평(雨平)이었는데, 통일신라 경덕왕이 고택(高澤)이라 하여 장계군에 속하였다가 고려시대 이후 장수현이 되어 남원부(南原府)에 소속되었고 1950년(고종 32) 군(郡)이 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장수 황씨(長水黃氏)의 시조(始祖) 황경(黃璥)은 통일신라(統一新羅) 경순왕(敬順王)의 부마(駙馬)로 시중(侍中)을 지냈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우리나라 황씨(黃氏)의 도시조(都始祖) 황락(黃洛)의 후손이며 장수군(長水君)에 봉해진 을고(乙古)의 아들로 전한다. 그 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후손들을 참의(參議)를 지낸 황석부(黃石富)를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계대(繼代)하고 있다. 가문의 대표적인.. 2023. 2.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