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뿌리를 찾아서 이 곳에 오신 당신은 오늘 크고 작은 행운이 함께 할 것 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ㅁ ) 성씨(姓氏) 모음

서촉(西蜀)명씨(明氏) 항렬 족보

by 하얀나비 미드저니 2023. 2. 4.

서촉(西蜀)은 고대 중국(中國)의 진(秦)나라 서쪽에 속해있던 지명(地名)이다.

원나라가 기울어 가는 1362년(고려 공민왕 11)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 도읍(都邑)을 정하고 하(夏)나라를 세웠던 명옥진(明玉珍)의 아들 명승(明昇)은 1366년(고려 공민왕 16)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王位)를 계승하여 현군(賢君)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나 1371년(공민왕 20) 명(明)나라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의 세력에 굴복하고 이듬해 어머니 팽씨(彭氏)와 함께 가족 27명을 거느리고 고려(高麗)에 귀화(歸化)하였다.

 

고려에서는 그를 따뜻하게 맞이하여 국빈(國賓)의 대우를 하였고 집과 노비를 내려 왕족(王族)의 지위를 지켜주었다. 그는 송도(松都)의 북부(北部) 이정리(梨井里 : 흥국사 북쪽 산밑)에 정착(定着)하고 총랑(摠郞) 윤희종(尹熙宗)의 딸과 혼인하여 살면서 아들 4형제를 낳아 우리나라 명씨(明氏)으 시원(始原)을 이루었다. 명승(明昇)은 이성계(李成桂)와 친분을 맺어 두터운 교분으로 자주 바둑을 즐겼으며 그의 어머니 팽씨(彭氏)는 이태조(李太祖)가 등극할 때 용포곤의(龍抱袞衣 : 임금이 입던 정복, 황색이나 적색의 비단으로 지으며 가슴과 두 어깨에 발톱이 다섯개 달린 용의 무늬를 금실로 둥글게 수 놓았음)를 지어 올려 태조가 감읍(感泣)했다고 한다. 태종(太宗) 때에 승(昇)은 화촉군(華燭君)에 봉군되어 충훈세록(忠勳世錄)의 예우를 받았으며, 영조조(英祖朝)에 와서는 그의 후손들에게 병역과 납세를 면제토록 하였다.

서촉(西蜀) 명씨(明氏)  항렬 족보

서촉명씨의 뿌리공원내-조형물
뿌리공원 서촉명씨 조형물 전면

그로부터 명씨(明氏)는 문호(門戶)를 엮어 대하(大夏)의 왕(王)인 명옥진(明玉珍)을 시조(始祖)로 삼고 선조(先祖)의 원향지(原鄕地)인 서촉(西燭)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게 되었으며, 명승의 아들 자헌공(資憲公) 의(義), 총랑공(摠郞公) 현(俔), 부사공(副使公) 준(俊), 시랑공(侍郞公) 신(信)의 후예들이 전국 각지에 분산 세거(世居)하면서 세계(世系)를 계승(繼承)하였다. 명씨(明氏)의 본관(本貫)은 서촉(西燭)을 비롯하여 연안(延安) 해주(海州), 황해(黃海), 한양(漢陽), 양산(陽山 : 옥천지방) 태안(泰安) 등 24본(本)까지 문헌에 전해지나 모두가 한 핏줄의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하여 황해도(黃海道) 연안(延安) 자헌공 의(儀)의 후손들이 뿌리를 내렸던 지역으로 선조(先祖)의 유적이 있는 곳 이기도 하여 일부에서는 아직도 관향(貫鄕)을 연안(延安)으로 쓰고 있으나 1986년에 간행된 "명씨대동보(明氏大同譜)"에서는 서촉과 연안의 합본(合本)으로 되어있다.

 

명씨의 인맥을 살펴보면 6세손 진사(進士) 극겸(克謙)의 맏아들 광계(光啓)가 임진왜란 때 평택 현감(平澤縣監)으로 창의(倡義)하여 중봉(重峰) 조헌(趙憲)의 의병(義兵)과 합세, 유명한 금산(錦山)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하여 명성을 떨쳤으며 후손 정구(廷軀)는 숙종(肅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예조좌랑(禮曹佐郞)과 보령현감(保零縣監)을 지냈다. 한편 광계의 증손(曾손(孫) 천득(天得)은 통훈대부(通訓大夫)로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낸 치상(致庠 : 광계의 11세손)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그 밖의 인물로는 고종(高宗) 때 유명했던 우진(祐鎭)과 연안군수(延安郡守)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범석(範錫)이 뛰어났다.

 

항렬표

21, 제(濟)  22, 식(植)  23, 노(魯)  24, 재(在)  25, 호(鎬)  26, 순(淳)  27, 주(柱)  28, 희(熙)  29, 기(基)  30, 종(鐘)  31, 수(洙)  32, 상(相)  33, 환(煥)  34, 규(圭)  35, 현(鉉)  36, 홍(洪)  37, 동(東)  38, 병(炳) 39, 우(佑)  40, 세(世)  41, 원(沅)  42, 계(桂)  43, 중(重)  44, 영(永)  45, 선(瑄)  46, 왕(汪)  47, 업(業)  48, 태(台)  49, 배(培)  50, 지(志)  51, 면(勉)  52, 두(杜)  53, 경(炅)  54, 은(垠)  55, 일(鎰)  56, 문(汶)  57, 표(杓)  58, 량(良)  59, 균(均)  60, 정(正)  61, 용(溶)  62, 근(僅)  63, 욱(煜)  64, 구(垢)  65, 춘(瑃)  66, 보(甫)  67, 국(局)  68, 대(大)  69, 준(埈)  70, 생(生)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