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밀양(密陽)은 경상남도(慶尙南道) 북동부(北東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원래 삼한시대(三韓時代)에 변한(弁韓)의 일부로 가락국(駕洛國)에 속하였으며,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 제 23대 왕) 때 신라에 병합되어 추화군(推火郡)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밀성군(密城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高麗) 때 와서는 995년(성종 16)에 밀주(密州)로 하였고, 1390년(공양왕 2) 밀양부(密陽府)로 승격, 그 후 여러 차례의 변천을 거듭하다가 1895년 밀양군(密陽郡)으로 개칭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밀양박씨(密陽朴氏) 돌림자 신라 시조왕(始祖王) 박혁거세(朴赫居世)의 29세손인 경명왕(景明王 : 제54대왕)의 8대군 중 세자(世子)인 박언침(朴彦枕)으로 부터 세계(世系)가 단일본관(單一本貫)으로서는 우리나라 최대의 벌족(伐族)임을 자랑하여 왔다. 박씨(朴氏) 중에서도 가장 뿌리가 굵은 밀양박씨는 중시조(中始祖) 언침(彦枕)이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진 연유로 해서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하게 되었다.
아랫 대로 내려오면서 여러 파로 분파(分派) 되었고, 10세손 환(桓)이 영암박씨(靈岩朴氏)로 분적하면서 12개파 10여개 본관으로 갈라졌다.
각 계통별로 두드러진 인맥(人脈)을 살펴보면 종파(宗派)인 8세손 언부(彦浮)가 고려 문종조(文宗祖)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에 권신(權臣) 최충(崔沖)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내고 문하시중과 도평의사(都評議事)를 거쳐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에서 은산군(銀山君) 영균(永均)을 비롯한 13개의 파가 형성되었다. 밀성부원군 언부(彦浮)의 차남 의신(義臣 ; 고려 인종 때 공부상서를 역임)의 후손에서는 사문진사(四門進士) 원(元 : 의신의 맏아들)의 계통과 의홍위(義興衛)로 밀성군(密城郡)에 봉해졌던 척(陟 : 의신의 현손)의 인맥이 두드런진다.
밀양박씨(密陽朴氏) 돌림자
원(原)의 8세손 의중(宜中)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문과에 장원하고 우왕(禑王) 때 대사성(大司成)과 밀직제학(密直提學)을 거쳐 뒤에 공신(功臣)에 올랐다. 조선이 개국(開國)하자, 정도전(鄭道傳)등과 함께 " 고려사(高麗史)"를 수찬(修撰)했고,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밝았으며 우아한 문장(文章)으로 문치(文治)에 고명(高名)했다. 문종(文宗) 때 경흥부사(慶興府使)로 재직중 야인(野人) 토벌에 전공을 세웠던 거겸(居謙)은 의중의 손자이며 증판서(贈判書)인 경빈(景斌)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사등공신(佐理四等功臣)으로 밀산군(密山君)에 봉해졌다.
고려충목왕(高麗忠穆王) 때 문과에 급제한 중미(中美 : 의신의 7세손)는 공민왕 때 홍건적(紅巾賊)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우고 보리공신(輔理功臣)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올라 밀직부원군(密直府院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8세손인 생원(生員) 사눌(思訥)의 아들 성(惺)이 한강(寒岡) 정구(鄭球)에게 글을 배우고 선조 때 학봉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들어가 임진왜란에 공(功)을 세웠다. 정유재란 때는 체찰사(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의 막료로 종군 주왕산성(周王山城)의 대장(大長)으로 활약하여 왕자사부(王子師傅)에 임명되었으나 불취했으며, 후에 공조좌랑(工曹左郞)과 안양현감(安陽縣監)을 역임하였다.
조선(朝鮮) 정종의 부마(駙馬)로 지돈령부사(知敦零附事)에 오른 갱(賡)의 7세손 정원(鼎元)이 문과에 급제하여 평안도사(平安道事)를 역임했고 그의 종손(宗孫) 신규(信圭)는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지낸 후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어 글씨로 이름을 떨쳤다. 목사(牧使) 율(율 : 척의 11세손)의 아들인 이서(彛敍)는 선조(先祖) 때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를 거쳐 주서(住書)로 사관(史官)을 겸했고, 임진왜란 때는 병조좌랑(炳曹左郞)이 되어 분조(分朝)를 배종(陪宗)하는 데 공(功)을 세웠으며 순차사종사관(巡察使從使官)으로 황해도 지방의 병량을 담당했다.
'( ㅂ ) 성씨(姓氏)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박씨(順天朴氏) 족보 돌림자 (2) | 2023.10.26 |
---|---|
고령박씨(高靈朴氏) 가문 유래 항렬표 (1)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