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本貫)의 연혁(沿革)
상산(商山)은 경상북도 상주(尙州)의 옛 지명(地名)으로 삼한시대(三韓時代)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며, 서기 185년(신라 벌휴왕 2) 사벌국(沙伐國) 또는 사불(沙弗)로 독립해오다가 신라 첨해왕(沾解王 : 제 12대왕, 재위기간 : 247~261) 때 상주(上州)라 하였다. 그 후 상락군(상洛郡) 사벌주(沙伐州)로 불리었다가 경덕왕(敬德王 : 신라 제 35대 왕, 재위기간 : 742~765)이 사주(尙州)로 개칭하였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始祖) 김수(金需)는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高麗) 때 보윤(甫尹)을 지내고 누대(累代)에 걸쳐 상산(商山 : 상주의 옛 지명)에 살았으며, 그의 손자(孫子) 식(湜)과 증손(曾孫) 희일(希逸)은 집사성(執事省 : 국가의 기밀과 서정을 관장하던 최고의 행정기관)의 으뜸 벼슬인 시중(寺中)을 지냈다.
현손(玄孫) 비궁(匪躬)은 찬성사(贊城事 : 문하부의 정2품 관직)를 역임한 후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9세손 일(鎰)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10세손 녹(祿)은 판사(判事)로 상성군(商城君)에 봉군되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수(需)를 시조(始祖)로하고 상산(商山)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면서 고려(高麗)와 조선조(朝鮮朝)에 걸쳐 훌륭한 명신(名臣)을 많이 배출하였다.
상산김씨(商山金氏) 족보 돌림자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人物)로는 상성군(商城君) 녹(祿)의 맏아들 득배(得培)가 1395년(고려 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로서 이방실(李芳實), 안우(安祐)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여 그 공으로 수충보절공신(輸忠保節功臣)에 책록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이 되었으며, 1361년(공민왕 10) 다시 20만의 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 개경(開京)까지 쳐들어와 왕(王)이 복주(福州)로 피신하는 치욕적인 상황에서 정세운(鄭世雲), 이방실(李芳實), 최영(崔瑩), 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반격하여 개경(開京)을 수복하는 데 공(功)을 세웠다. 한편 원종(元宗)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충(忠)은 문하시중(門下寺中) 치원(致遠)의 손자로 삼별초(三別抄)의 난(難)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1281년(충렬왕 7) 일본(日本)을 정벌(征伐)할 때 공을 세워 기성군(箕城君)에 봉해졌다. 그의 증손(曾孫) 운보(云寶)와 신보(臣寶) 형제는 1353년(공민왕 2) 왜적(倭賊)이 침입했을 때와 홍건적의 난(亂) 때 공을 세워 판전의시사(判典義寺事)와 봉순대부(奉順大夫)에 각각올랐다. 특히 운보(云寶)는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서훈되고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겸 사복시(司僕寺)에 이르렀으나 아우 신보(臣寶)는 벼슬을 버리고 전남 영광(靈光)으로 낙향하여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켰다. 운보의 아들 덕생(德生)은 태조(太祖)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낭장(郎將)으로 재직시 방원(芳遠 : 후에 태종이 됨)이 사냥을 하다가 표범의 습격을 받아 신변이 위험했을 때 화살로 표번을 쏘아 죽여 말(馬)을 하사(下賜) 받았다.
뒤에 호군(護軍)을 거쳐 세종(世宗) 때 가정대부(嘉靖大夫)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추증되었다. 세종(世宗) 때 무신(武臣)으로서 두 차례에 걸쳐 침입한 야인(野人)을 무찌르고 무용(武勇)을 떨친 사우(師禹)는 1460년(세조 5) 한성부윤(漢城府尹)으로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두만강(豆滿江) 밖 모련위(毛漣衛)의 야인(野人)을 토벌하고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이어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후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올랐다. 순천부사(順天府使) 우생(佑生) 정몽주(鄭夢周)의 문하(門下)에서 학문을 배워 구경(九經), 사서(四書)에 통달하였고, 성삼문, 박팽년 등과 친분이 두터운 사이로 단종(端宗)이 억울하게 숨졌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결한 절신이며, 세종(世宗) 때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한 양경(良敬)은 공조판서와 대사헌 에 올라 판돈령부사를 지낸 광준(光準), 옥과현감(玉果縣監) 범(範), 군수(郡守) 염(廉) 등과 함께 이름을 날렸다.
'( ㄱ ) 성씨(姓氏)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김씨(廣州金氏) (1) | 2023.10.27 |
---|---|
청도김씨(淸道金氏) 족보 (1) | 2023.10.25 |
안동권씨(安東權氏) 돌림자 (1) | 2023.02.06 |
소주 가씨(蘇州賈氏)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항렬표 (2) | 2023.02.03 |
현풍곽씨 (玄風郭氏) 시조 항렬 (3)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