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소주(蘇州)는 중국(中國)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안(東岸)에 위치한 고장으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일찍이 춘추전국 시대에 오(吳)나라의 국도(國都)로 발전하였고, 역대에 걸쳐 주변지역의 행정중심지로 알려진 곳 이다.
소주가씨(蘇州賈씨)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가씨(賈氏)는 소주(蘇州)를 단본으로 하며 중국(中國) 주(周)나라 문무(文武)의 후예(後裔)로서 명(明)나라 신종(神宗) 때 병부상서(兵部尙書)겸 계요안찰사(薊療安察社) 를 지낸 가유익(賈維鑰)을 시조(始祖)로 하고있다.
문헌에 의하면,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서기 1593년(선조 26)에 신종(神宗)의 명으로 원병을 이끌고 이여송(李如松), 마귀(麻貴)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와 안주(安州) 등지에서 왜군과의 싸움에 공(功)을 세우고 돌아갔다.
그 후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유격장군(遊擊將軍)인 아들 상(詳)과 병부종사ㅣ관(兵部從事官)인 손자(孫子) 침(㑴)을 데리고 다시 조선(朝鮮)에 들어와, 소사( 지금의 부천) 남원(南原) 등지의 싸움엠서 대승을 거두고, 부산(釜山) 포구(浦口)의 싸움에서 용전(勇戰)하던 중 아들 상(祥)과 함께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손자 침(琛)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고 경남 울산 서생진 도독동 (慶南蔚山西生鎭道督洞) 양지 바른 것에 무덤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나서 명(明)나라 원병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도독(道督) 마귀(麻貴)가 침(琛)에게 함께 귀국할 것을 권유했으나, 그는 "조부(祖父)와 부친(父親)의 묘를 두고 어찌 이 곳을 떠나겠느냐" 하며 조선에 귀화하여 조상(祖上)의 무덤이 있는 울산(蔚山)에 자리잡아 안동부사(安東府使) 권순(權純)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1647년(인조 25) 침(琛)이 죽자 슬하의 아들 성(晟), 호(昊), 병(昺), 수(遂) 4형제는 충남(忠南) 서산(西山)으로 자리를 옮겨 우리나라 가씨(賈氏)의 터전을 이루었다.
1851년(철종 2)에는 시조(始祖) 유약(維鑰)과 아들 상(祥), 손자 침(琛) 삼대(三代)의 충효(忠孝)를 기리는 사당(祠堂)과 정문(旌門)이 서산(西山) 가씨(賈氏) 마을에 내려졌다. 그 후 가씨는 서산(西山)을 중심으로 한 충남 일대에서 충효(忠孝)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가문(家門)이 크게 번성하였고, 시조 유약의 14세손 행건(行建)이 헌종(憲宗) 때 충청도 안흥 양진(忠淸道安興梁鎭)의 수군 병마절제사(水軍兵馬節制使)를 지내며 천성이 어질어 도덕군자(道德君子)라는 칭송이 높았다.
그의 아들 일영(日永)도 철종(哲宗) 때 울진현령(蔚珍縣令) 등을 지내며 벼슬이 높았고, 선정을 베풀어 그가 ㅣ울진을 떠나올 때 군민들이 암벽을 갈아 그의 공적을 새겼다고 하는 마애비(磨崖碑)가 지금도 전한다. 일영(日永)은 철종(哲宗) 때 충량과(忠良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고종(高宗) 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으며, 14세손 익건(翊建)은 1866년(고종 3)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을 때 의병을 일으켰다.
그 외 한말(韓末)과 일제(日帝) 침략기에 선조(先朝)의 뜻을 이어 나라에 충성한 인물로는 의영(義永)과 병준(秉俊)의 부자(父子)가 유명했다. 후덕(厚德)하고 자선심(慈善心)이 많기로 이름났던 이들 부자는 사재(私財)를 털어 가난한 이웃을 구제하는 등 사회사업에 공헌했으며, 호서(湖西) 일대의 한학자(漢學者)로 학명을 떨쳤던 형로(衡魯)는 항일투쟁에 헌신하여 일경(日警)으로 부터 주목(注目)받는 대상이 되었다.
신, 구(新舊)학문과 사학(史學)에 정통했던 병준(秉俊)은 서산에 농림중학교(農林中學校)를 설립하여 영재교육(英才敎育)을 통한 광복운동 농사개량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지대하여 면민(面民)이 송덕비(頌德碑)를 세웠으며, 시조의 18세손 재연(在衍)은 인천상고 재학시와 은행원 신분으로 항일투쟁에 앞장섰다가 옥고로 순국했다. 민족계몽 중 일본 헌병으리 목을 베려 했던 정로(晶魯 ; 시조의 17세손)와 사재를 털어 임시정부를 지원했던 재창(在昌)도 애국애족으 정신으로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정로(晶魯)는 대한민국 정ㅂ무수립 후에 예산(禮山), 서산(西山), 공주(公州)의 군수(郡守)를 지내며 한국민주행정의 기틀을 마련하여 충절의 전통가문인 소주가씨를 더욱 빛나게 하였다.
'( ㄱ ) 성씨(姓氏)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김씨(廣州金氏) (1) | 2023.10.27 |
---|---|
청도김씨(淸道金氏) 족보 (1) | 2023.10.25 |
안동권씨(安東權氏) 돌림자 (1) | 2023.02.06 |
상산김씨(商山金氏) 족보 돌림자 (1) | 2023.02.05 |
현풍곽씨 (玄風郭氏) 시조 항렬 (3)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