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의령남씨(宜零南氏) 돌림자 항렬 족보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의령(宜零)은 경상남도(慶尙南道)의 중앙, 낙동강 하류서안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본래 신라(新羅)의 장함현(獐含縣)인데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의령으로 고쳐서 함안군(咸安郡)에 속했으며, 고려(高麗) 때에는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공양왕(恭讓王)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조(朝鮮朝)에 현(縣)으로 승격된 뒤 1895년(고종 32)에 의령군으로 개칭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남씨성(南氏姓)은 신라 경덕왕 14년 시조(始祖) 영의공(英毅公) 민(敏)이 왕으로 부터 남씨로 사성(賜姓) 받은 것이 시초이다. 1200년대 고려 후기에 이르러 남씨는 영양, 의령 고성, 삼관(三貫)으로 나누어졌다. 의령남씨의 관조(貫祖)는 고려 통헌대부(通憲大夫) 추밀원직부사(樞.. 2023. 2. 5. 상산김씨(商山金氏) 족보 돌림자 본관(本貫)의 연혁(沿革) 상산(商山)은 경상북도 상주(尙州)의 옛 지명(地名)으로 삼한시대(三韓時代)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며, 서기 185년(신라 벌휴왕 2) 사벌국(沙伐國) 또는 사불(沙弗)로 독립해오다가 신라 첨해왕(沾解王 : 제 12대왕, 재위기간 : 247~261) 때 상주(上州)라 하였다. 그 후 상락군(상洛郡) 사벌주(沙伐州)로 불리었다가 경덕왕(敬德王 : 신라 제 35대 왕, 재위기간 : 742~765)이 사주(尙州)로 개칭하였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始祖) 김수(金需)는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高麗) 때 보윤(甫尹)을 지내고 누대(累代)에 걸쳐 상산(商山 : 상주의 옛 지명)에 살았으며, 그의 손자(孫子) 식(湜)과 증손(曾孫) 희일(希逸)은.. 2023. 2. 5. 안악이씨(安岳李氏) 시조(始祖) 이진(李震)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안악(安岳)은 황해도(黃海道)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본래 고구려(高句麗)의 양악군(楊岳郡)인데 고려(高麗) 초에 안악(安岳)으로 고치고 현종(顯宗) 때 풍주(豊州)에 속하였다가 1106년(예종 1) 감무(監務)를, 1348년(충목왕 4)에는 승격하여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조선조(朝鮮朝)에 들어와 선조(宣祖) 때 현(縣)으로 강등하였으나 1608년(선조 41)에 안악군(安岳郡)이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가문(家門)의 由來) 안악이씨(安岳李氏)의 시조(始祖) 이진(李震)은 중국(中國) 농서(籠西) 사람으로 기원전 108년(한무제 원봉 3) 위만조선(衛滿朝鮮)의 우거왕(右渠王)이 한(漢)에 불공(不貢)하여 무제(武帝)가 무장(武裝) 공손수(公孫遂)를 시켜 왕검성(王儉.. 2023. 2. 5. 신안주씨(新安朱氏) 가문의 유래 족보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신안(新安)은 중국(中國) 중앙부(中央部), 양자강(楊子江) 하류 및 회하(淮河) 유역의 안휘성(安徽省) 휘주부(徽州府)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이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신안주씨(新安朱氏)는 중국(中國) 송(宋)나라 신안현(新安縣) 사람인 주잠(朱潛)이 고려(高麗) 고종 때 동래(東來)하여 나주(羅州)에 정착(定着)하게 되면서부터 그를 동래조로 하여 계대를 이어오고 있다. 잠(潛)은 주자(朱子 : 본명은 희, 성리학을 대성한 남성의 유학자)의 증손(曾孫)으로 송(宋)나라 사직9社稷)이 위태롭게 되자 아들 여경(餘慶)을 데리고 바다를 건너 망명해 와서 금성(錦城)에 자리잡고 살았다고 "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기록되어 있다. 후에 원(元)나라에서 송(宋)의 유민(遺.. 2023. 2. 5. 장수황씨(長水黃氏) 가문의 유래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장수(長水)는 전라북도(全羅北道)에 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우평(雨平)이었는데, 통일신라 경덕왕이 고택(高澤)이라 하여 장계군에 속하였다가 고려시대 이후 장수현이 되어 남원부(南原府)에 소속되었고 1950년(고종 32) 군(郡)이 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장수 황씨(長水黃氏)의 시조(始祖) 황경(黃璥)은 통일신라(統一新羅) 경순왕(敬順王)의 부마(駙馬)로 시중(侍中)을 지냈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우리나라 황씨(黃氏)의 도시조(都始祖) 황락(黃洛)의 후손이며 장수군(長水君)에 봉해진 을고(乙古)의 아들로 전한다. 그 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후손들을 참의(參議)를 지낸 황석부(黃石富)를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계대(繼代)하고 있다. 가문의 대표적인.. 2023. 2. 5. 초계최씨(草溪崔氏) 가문의 유래 돌림자 족보 관향(貫鄕)의 유래(由來) 초계(草溪)는 경상남도(慶尙南道) 합천군(陜川郡)에 속해 있는 지명(地名)으로 본래 신라(新羅)의 초팔혜현(草八兮懸)인데, 경덕왕(景德王) 때 팔계(八溪)로 고쳐서 강양군(江陽郡 : 합천)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가 고려(高麗) 때는 초계(草溪)로 하였고 1018년(현종 9) 합주(陜州)에 속했다. 명종(明종) 때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1316년(충숙왕 3)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고, 1913년 합천군(陜川郡)에 병합하여 지금은 합천군에 속한 초계면(草溪面)으로 남아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초계 최씨(草溪崔氏)는 전주 최씨(全州崔氏)에서 분파(分派)되었고 문헌에 의하면 시조(始祖) 최용궁(崔龍宮)은 전주최씨 일파의 시조 최균(崔均)의 4세손으로, 1296년(충렬왕.. 2023. 2. 4. 동래정씨(東萊鄭氏) 가문의 유래 돌림자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동래(東萊)는 부산직할시와 경남 양산시의 일부지역을 차지했던 지명(地名)으로 본래 장산국(萇山國 : 혹은 萊山國)인데 신라 때 점령하여 거칠산군(居漆山郡)으로 고치고 경덕왕(景德王) 때 동래군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현종(顯宗) 때 울주(蔚州 : 울산)에 편입시켰다가 1547년(명종 2) 부(府)로 승격시키고 1895년(고종 32) 관찰부(觀察府)를 설치, 1896년 부윤(府尹)으로 삼았으며, 1903년 군으로 고쳤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부산부에 예속되고 부산부에 속하지 않는 일부구역과 기장군(機張郡) 일원을 병합하여 동래군을 이루었다. 그 후 대부분이 부산에 편입되고 나머지는 양산군에 편입됨으로써 동래군의 행정구역 명칭은 소멸되었는데 부산직할시에 편입된 대부분은 동래구.. 2023. 2. 4. 경주손씨(慶州孫氏) 가문의 유래 돌림자 항렬표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 57년 이 곳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古代國家)를 형성,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 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으나 수도명과 국호를 동일시 하였다. 서기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의 시조(始祖)가 탄생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으며,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고,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 敬順王)이 손위(遜位)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별칭(別稱).. 2023. 2. 4. 고령박씨(高靈朴氏) 가문 유래 항렬표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고령(高靈)은 경상북도(慶尙北道) 남서단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으로 본래 옛 대가야국(大伽倻國)의 중심지인데 16대 520년간을 계승해 오다가 신라(新羅) 진흥왕(眞興王) 때 신라에 병합되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고양군(高陽郡)이 되었고 1018년(고려 현종 9) 영천현(靈川縣)이 되어 경산부(京山府 : 지금의 성주)에 속하게 되었다. 그 후 조선(朝鮮) 태종(太宗) 때 고양군의 고(高)와 영천현의 (靈)을 따서 고령현(高靈縣)이라 하였으며 1895년(고종 32)에 성주(星州) 9면과 현풍(玄風) 3면을 병합하여 고령군(高靈郡)이 되었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항렬표 고령박씨(高靈朴氏)는 신라왕족(新羅王族)의 후예(後裔)로 박혁거세(朴赫居世)의 29세손인 경명왕(.. 2023. 2. 4. 서촉(西蜀)명씨(明氏) 항렬 족보 서촉(西蜀)은 고대 중국(中國)의 진(秦)나라 서쪽에 속해있던 지명(地名)이다. 원나라가 기울어 가는 1362년(고려 공민왕 11)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에 도읍(都邑)을 정하고 하(夏)나라를 세웠던 명옥진(明玉珍)의 아들 명승(明昇)은 1366년(고려 공민왕 16)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王位)를 계승하여 현군(賢君)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나 1371년(공민왕 20) 명(明)나라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의 세력에 굴복하고 이듬해 어머니 팽씨(彭氏)와 함께 가족 27명을 거느리고 고려(高麗)에 귀화(歸化)하였다. 고려에서는 그를 따뜻하게 맞이하여 국빈(國賓)의 대우를 하였고 집과 노비를 내려 왕족(王族)의 지위를 지켜주었다. 그는 송도(松都)의 북부(北部) 이정리(梨井里 : 흥국사 북쪽 산.. 2023. 2. 4. 고흥류씨(高興柳氏)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항렬표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고흥(高興)은 전라남도 남동단(南東端)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려초에 고이부곡(高伊部曲)이라 하였으며, 1285년(충렬왕 11)에 고흥현(高興縣)이라 개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조선 태조조(太祖朝)에 보성군(寶城郡) 조양현(兆陽縣)으로 개편되었다가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 두원현(豆原縣)으로 바꾸고 보성군 남양현(南陽縣)을 분할 편입하여 흥양(興陽)이라 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고쳤으며, 1914년 고흥군(高興郡)으로 개칭하였다. 이 곳의 뿌리공원은 대전 광역시에 위치해 있으며 대전시 외곽에 위치해 항상 맑은 공기를 유지하고 뿌리공원을 가로 지르며 흐르는 냇물은 산속의 둔탁함을 맑게해준다. 가족들 단위로 여름에 숲속을 찾는 사람들도.. 2023. 2. 3. 나주(羅州)나씨(羅氏) 관향 유래 족보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나주(羅州)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중서부(中西部)에 위치한 지명(地明)으로 백제(百濟)의 발라군(發羅郡)이었으며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 제35대왕, 재위기간 : 742 ~ 765) 때 금산군(錦山郡)으로 고쳤다. 후백제의 견훤(甄萱)이 이 곳을 본거지로 삼았고 후에 고려(高麗) 태조 왕건(王建)이 점령하여 나주(羅州)로 개칭하였다.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고대 중국(中國) 백익(伯益)의 후예로 전하는 나주나씨(羅州羅氏)는 시조(始祖)인 나부(羅富)가 강서성(江西城) 예장(豫章)으로 부터 동래(東來)하여 고려조에서 정의대부(定議大夫)로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역임하고 나주(羅州)에 정착(定着)한 것이 시원(始原)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 2023. 2. 3. 이전 1 2 3 다음